본문 바로가기

책리뷰

게으르지만 콘텐츠로 돈은 잘법니다-신태순 지음


'정기적'으로 '장기간'발행하고 있어야 합니다. 에너지 음료 회사로 알고 있는 레드불은 출판을 통해 매년 수백만 권의 잡지를 발매하고, 영화수준의 영상을 정기적으로 제작합니다.

'새로운 시작은 언제나 어렵고, 여러 번 중단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

"소셜 미디어에서 순전히 콘텐츠를 만드는 재능만으로 성공하는 사람은 약 1퍼센트뿐이다. 나머지 사람들은 자신이 만드는 콘테츠를 관심 있게 봐줄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해야 한다."-게리바이너척

좋아하고 잘하는 것을 완벽히 결정하는 것은 어렵고, 그렇더라도 잔뜩 힘이 들어가고 욕심이 생겨서 오래 지속하지 못합니다. 당장 쉽게 바로 할 수 있는 것, 특히 나를 기록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나의 위치를 인지할 때 콘텐츠 방향을 조정해 갈 수 있는 힘도 생깁니다.

반복해서 지속하는 행위 덕분에 내 업무를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몸이 익숙해지면서 힘든 업무가 점점 쉬워진 것입니다. 쪼개진 업무를 반복하면서 뉴런들도 새롭게 길을 텄고 비포장도로를 오가는 것같던 업무 전환 속도가 아우토반 위에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반복해서 지속하는 행위 덕분에 내 업무를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몸이 익숙해지면서 힘든 업무가 점점 쉬워진 것입니다. 쪼개진 업무를 반복하면서 뉴런들도 새롭게 길을 텄고 비포장도로를 오가는 것같던 업무 전환 속도가 아우토반 위에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키워드만 입력하면 유튜브 주제와 관련해서 사람들이 많이 검색하는 정보를 무료로 알려주는 곳(https://www.keyword.io)

새로운 상품 흥행 공식에 반드시 포함될 요소는 바로 '리뷰를 하기 좋은 상품인가?'입니다.

콘텐츠 마케팅의 조건을 충족하고 수익 증대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콘텐츠가 다음 3가지 특징을 갖춰야 합니다.

1. 콘텐츠 그 자체로 돈을 낼 만큼의 가치가 있어야 한다.

2. 특정 요일과 시간에 정기적으로 장기간 콘첸츠가 발행되어야 한다.

3. 관련 콘첸츠를 소비하는 잠재고객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단언하는데 글 하나만 제데로 자주 써도 잠재고객을 만족하게 되고, 충성 팬을 만드는 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다만, 다양한 채널에서 여러 형태의 콘텐츠를 접할 때 신뢰감을 더 줄 수 있으므로 쓴 글을 가공해서 영상과 카드 뉴스, 음성을 만들어 여러 채널에 업로드합니다. 공들여서 쓴 글은 꽤 괜찮은 스크립트가 됩니다. 이런 스크립트를 읽으면서 영상을 찍으면 기획이 잘 된 영상이 탄생합니다.

직접 홈페이지를 만들거나 유료 사이트를 구축해서 결제를 받고 콘텐츠를 받는 방법도 있지만 데이터 보안 문제나, 사이트 관리에 대해 부담을 느낀다면 대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탈잉, 크몽, 에어클래스, 클래스 101 같은 곳은 콘텐츠를 업로드해서 판매할 수 있는 기회를 줍니다. 심지어 마케팅도 도와 줍니다. 그리고 판매된 만큼의 수익쉐어를 합니다. 초기에 비용을 많이 들이기 않고 얼마든지 온라인상에 내 콘텐츠를 팔아볼 수 있는 기회가 존재합니다. 한 번만 시도해서 온라인에 팔아보세요.

공부하면서 지식을 쌓고, 몸의 감각을 깨워 깊은 감정을 느끼고, 기록하면서 콘텐츠를 쌓고, 반복적으로 하는 작은 습관을 만드세요. 변화를 절시리 원했지만 변화하지 않았던 독자님이라면, 분명히 위 4H 중 하나는 빠져있는 상황일겁니다. 그러면 아무리 많은 시간을 들인다고 해도 원하는 변화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한번 돌이켜보세요. 나는 분명 저 사람보다 훨씬 더 열심히 살고 더 스트레스 받고, 더 공부 열심히 하는데 저 사람에게 생기는 변화가 왜 나에게 일어나지 않는 걸까? '4H를 놓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지금 하고 있는 H는 무엇이고, 놓치고 있는 H는 무엇인지 한번 각자의 SNS에 기록해보고, 주변의 피드백도 받아보세요. 변화에 필요한 중요한 힌트를 분명 얻게 되실 거예요.